만화로 보는 워런 버핏의 투자 전략 - 독후감

휴가 때 쉴 겸 파주 출판 도시에 다녀왔다.

파주 지혜의 숲이 책이 많은 듯 싶어서 가보았는데, 우연치 않게 읽게 된 "만화로 보는 워런 버핏의 투자 전략" 책이 재미있어어 기록을 남겨본다. 

참고로 파주 지혜의 숲은 누군가 기증한 책이 많았다. 위의 이미지처럼 어떤 사람이 기증한 것인지 명패(?)로 적혀있고 그 주변은 그 분이 기증하신 책들이 놓여져 있다.

 

만화로 보는 워런 버핏의 투자 전략 

만화로 보는 워런 버핏의 투자 전략은 투자를 하는 사람이라면 기본적으로 어떤 태도와 어떤 지식을 갖춰야 할 지에 대하여 쉽게 만화로 설명해 주는 책이다. 어린이가 읽을 수 있을 만큼 쉬운 내용은 아니지만, 성인들이 쉽게 주식 투자의 기본 지식을 쌓을 수 있도록 적힌 책이다. 

 

투자 초보들에게 추천하는 책이며, 주식 투자의 필독서로 꼽아도 될 만큼 내용이 좋았다.

(주요 내용은 가치 투자를 위한 기본 지식을 쌓기 좋은 내용)

 

아래로는 내가 읽었으며 느꼈던 주요 내용들을 기록해본다.

 

만화로 보는 워런 버핏의 투자 주요 내용 정리

워런 버핏이 어렸을 때 느꼈던 교훈은 아래와 같다고 했다.

  • 눈앞의 이익에 얽매이지 않는다.(Cities Service 주식의 주가가 조금 올라서 팔았는데, 그 이후에 훨씬 많이 올랐음. 자신만의 목표 가격을 설정해 놓는 게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함)
  • 타인의 돈을 운용하지 않는다.(누나 돈을 대신 운용해주고 손해를 보고 있을 때 마음이 더 조급했음).
  • 구매했을 때의 주가에 집착하지 않는다.

 

워렌 버핏의 주식 철칙

  • 성공과 실패의 원인을 분석한다
    • 이익을 내든 손해를 보았든 모든 경우에 대하여 돌이켜보는 것이 중요하다. 처음에 자신이 왜 그 주식을 샀는지 명확하게 알고 있으면 실패를 줄일 수 있다.

 

워렌 버핏이 영감을 받은 책

  1. 벤저민 그레이엄의 "현명한 투자자(The Intelligent Investor)": 정량 분석의 기초를 초보자도 알기 쉽게 쓰여있는 책
  2. 프랜시스 미네커의 "1,000달러를 버는 1,000가지 방법": 어린 버핏이 사업의 방향들을 배울 수 있었던 책

 

가치투자의 7가지 기준 (벤저민 그레이엄)

워렌 버핏은 가치투자로 유명한데, 그렇게 가치 투자를 할 때 어떤 기준으로 가치투자를 하면 좋을지에 대한 7가지 기준을 가지고 투자를 한다고 한다. 물론 아래의 7가지 기준은 워렌 버핏의 은사였던 벤저민 그레이엄의 기준이고 버핏은 일부 적용하지 않을 때도 있다고 했다.

  1. 사업 규모가 적절한가? 소형주는 피한다.
  2. 재무 상황은 건전한가? 유동자산이 유동부채의 두 배 이상이거나 장기부채가 순유동자산 이하여야 한다.
  3. 수익은 안정적인가? 최소 10년 동안은 적자가 없어야 한다.
  4. 배당이 있는가? 20년 연속으로 배당을 내고 있어야 한다.
  5. 수익의 증가는 어떤가? 과거 10년 중에 최근 3년 동안 주당순이익이 최초의 3년간보다 33% 이상 상승하고 있어야 한다.
  6. 주가수익비율은 어떤가? PER이 15배 이하여야 한다.
  7. 주가순자산비율은 타당한가? PBR이 1.5배 이하여야 한다.

 

피셔의 투자를 위한 15가지 질문

지속적인 매출 확대 능력을 보아야 한다.

  1. 현재 제품 및 서비스에서 수익 증가가 기대되는지
  2.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에서 수익 증가가 기대되는지
  3. 연구 개발을 하고 있는지
  4. 독자적인 노하우가 있는지
  5. 우수한 영업 능력이 있는지
  6. 장기적으로 전망이 있는지

이익을 창출하는 능력을 보아야 한다.

  1.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충분한지
  2. 영업이익률을 유지하고 개선하고 있는지
  3. 적절한 비용 분석과 재무 분석을 하고 있는지

경영자의 자질을 보아야 한다.

  1. 노사관계가 양호한지
  2. 관리직의 능력을 끌어내고 있는지
  3. 우수한 관리직이 풍부한지
  4. 경영자가 나쁜 소식도 알리고 있는지
  5. 경영자가 투자자에게 성실한 모습을 보이는지
  6. 증자의 리스크는 없는지

증자란? (유상증자)

기업이 신주를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으로 현금 흐름이나 부채비율, 운전자본 등을 통해 예상해 볼 수 있다.

손익계산서 읽는 법

손익계산서를 볼 때는 '영업이익률', '당기이익', '주당순이익'을 주요하게 봐야 한다고 하였다.

  • 영업이익률: 경쟁 우위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경쟁사와 비교해서 높을 수록 좋다(영업이익/매출액 X 100%)
  • 당기이익: 회사가 연간 얻는 수익으로 2기 전이나 3기 전과 비교해서 증가하는 경향이 바람직하다.
  • 주당순이익(EPS): 2기 전이나 3기 전과 비교해서 증가하거나 안정적인 경향을 보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무상태표 읽는 법

재무상태표는 기업에 저금이나 차입금이 어느정도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자산, 부채, 순자산의 3가지로 나뉜다. 중요한 것은 자기자본(총자본 중 상환 의무 없이 조달한 돈)이 마이너스인 기업은 부채가 많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가장 먼저 투자 대상에서 제외해야 한다고 한다.

 

 

차입금이란?

기업에서 꾸어 들인 돈 (즉, 남에게 꾼 돈)

 

순자산이란?

주주의 출자(자금을 내는 일, 즉 주주들이 투자한 돈)나 사업에서 얻은 이익

 

더 자세한 재무상태표 읽는 법은 아래의 글 참고!

 

 

오늘의 집 사례를 통해 보는 재무제표 읽는 법_(1)재무상태표

최근 티메프 사태로 인하여 커머스 업계에는 재무건전성 바람이 불고 있다.내가 재직 중인 회사도 마찬가지. 그 중 특히 오늘의 집(버킷플레이스)의 자본이 -8,000억 원 수준으로 상당히 부채가

hojourney.tistory.com

 

  • 자기자본: 상환 의무가 없는 자기자금으로 조달한 금액. 마이너스인 기업은 투자 대항에서 제외한다.
  • 유이자부채: 금리를 지불해야 하는 부채로 유이자부채/당기이익이 가급적 적은 기업을 고른다 (같은 계열의 다른 회사들과 비교하는 것도 좋을 듯?)

 

현금흐름표 읽는 법

  • 현금흐름표는 부문별로 나눠서 보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아래처럼
    • 영업CF: 통상의 업무에서 돈의 출납. 마이너스인 기업은 투자 대상에서 제오.
    • 투자CF: 투자활동에 따른 돈의 증감. 지속적으로 마이너스인 기업은 투자 대상에서 제외.
    • 재무CF: 자금 조달이나 부채의 변재 등에 따른 돈의 출납.
    • 프리CF: 영업CF와 투자CF의 합계. 많으면 많을수록 좋은 기업.

 

 

그 외로도 읽으며 되새기고 싶었던 부분들

  • 비즈니스를 시작한다면 회계학을 배워야 한다.
  • 코모디티(commodity) 기업이란? 제공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독자성이 없어 경쟁사와의 가격 경쟁으로 고객을 얻으려고 하는 기업
  • 주요 재무지표를 읽을 땐, '자기자본비율', 'ROA', 'ROE'를 보는 게 좋다.
    • 자기자본비율: 총자산에서 순자산이 차지하는 비율. 많을수록 안전하며, 40% 이상이 합격선, 50% 이상이 이상적.
    • ROA: 기업의 자산운용의 효율성을 보는 지표로 최저 6% 이상이어야 하고, 높을수록 좋음.
    • ROE: 주주의 출자에 의한 자산운용의 효율성을 보는 지표로 일본 기업은 10% 이상이 투자 대상임.
  • 기업이 창출하는 이익을 국채의 수익률로 나누면 현재 기업의 가치를 예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업가치 - 시가총액'인 안전마진을 구할 수 있는데, 안전마진이 클 수록 리스크가 줄어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