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준히 투자를 하다보니 생각보다 수익이 꽤 발생하고 있다.하지만 해외투자의 경우 1년에 250만원까지만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매년 250만원의 수익만 내기엔 너무 아쉽다.그래서 절세 공부를 시작해보기로 했다. 우선 기본 개념으로 양도소득세를 알아야 한다. 양도, 양도소득세 뜻처음에 단어만 들었을 땐 뭔가 누군가한테 '양도'를 할 때, 발생하는 소득세인가? 싶었다.그럼 내가 알고 있는 양도의 뜻은 맞는 걸까? 누군가한테 넘긴다는 뜻으로 알고 있었는데.양도란?: 재산(財產)이나 물건(物件)을 남에게 넘겨줌. 또는 그런 일. (출처: 네이버 사전)여기까진 내가 알고 있는 뜻이 맞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소득세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양도의 개념은 약간 달랐다.: 양도란 자산에 대한 등기 또는 등록과..
최근 티메프 사태로 인하여 커머스 업계에는 재무건전성 바람이 불고 있다.내가 재직 중인 회사도 마찬가지. 그 중 특히 오늘의 집(버킷플레이스)의 자본이 -8,000억 원 수준으로 상당히 부채가 많은 것처럼 보도가 되었다.(이에 대한 오늘의 집(버킷플레이스)의 의견 https://ohstory.io/press/notices/11464) 이러한 논란에서 알 수 있듯이, 같은 재무제표라도 누가 읽느냐에 따라 다르게 해석할 수 있다.여러 기사와 오늘의 집의 블로그 글을 읽으며 나는 재무제표를 읽는 법을 학습해보고자 한다. 재무제표 읽는 법재무제표에는 일반적으로 4가지 정보가 포함되는데, 아래의 항목들이 그 주요한 정보의 구성이다.재무상태표손익계산서자본변동표현금흐름표 오늘은 이 4가지 항목 중 재무상태표를 뜯어보..
블로터에서 경제 뉴스를 간간히 읽고는 하는데, 네이버 웹툰 상장 후 가격 변동에 대한 기사를 접하게 되었다. 참고: 美상장 네이버웹툰, 2분기 '어닝미스'에 주가 38% 급락 나스닥 상장은 성공하였지만 아직 그 길이 순탄치만은 않은 듯 싶다. 뭐 어찌되었든 어닝 서프라이즈라는 건 익히 들어보았지만 어닝 미스를 처음 들어서 그 뜻과 발생하는 이유를 찾아보았다. 어닝 미스(Earnings Miss)란?기업의 실제 실적이 시장의 기대치 또는 애널리스트들의 예상치를 밑돌았을 때 사용되는 용어이다. 주로 분기별 또는 연간 실적 발표에서 발생하며, 주가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회사의 2분기 예상 순이익이 1억 원이었는데, 실제로는 8천만 원일 때 어닝 미스는 투자자들에게 부정적인 신호로..
펀드명은 어떻게 정해지는가 운용회사 + 투자지역/섹터/전략 + 자산종류 + 모자구분 + 법적성격 + 주운용자산 + 비용구조 예를 들어, 삼성인도중소형FOCUS증권자H(주식-파생)-Ce라면‘삼성’: 삼성증권이 해당 펀드를 운용해 주는 것이고‘인도‘: 인도에 투자하는 것이고’중소형‘: 자산 종류를 중소형으로 보념 노딘다펀드명의 H와 UH는?H는 Hedge, UH는 Un Hedge다 펀드명의 A와 C는(펀드 클래스)?쉽게 생각하면 수수료를 어떤 구조로 나눠서 낼 것인지에 대한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A와 C를 가장 많이 접하게 될 텐데, A 클래스는 가입 시점에 약 1%의 수수료를 뗀다. C는 반대로 가입 때에는 떼지 않지만, 매년 발생하는 판매보수가 A클리스보다 두 배가량 높다. 출처: 한국경제 | 박의명 기자
https://eiec.kdi.re.kr/material/pageoneView.do?idx=1721&svalue=&pp=&pg= 간접 투자의 대표 주자, 펀드와 친해지는 시간 | 경제로 세상 읽기 | KDI 경제정보센터다양하고 차별화된 경제교육 콘텐츠를 제공합니다.eiec.kdi.re.kr 투자하는 자산이 무엇인지에 따라 펀드는 주식형 펀드, 채권형 펀드, 주식과 채권에 나눠 투자하는 혼합형 펀드 등이 있습니다 MMF란?MMF는 머니 마켓 펀드(Money Market Fund)의 약자입니다. MMF는 손실의 위험이 매우 낮은 단기 우량 채권 같은 자산에 주로 투자하기 때문에 비교적 안전한 펀드로 알려져 있습니다. 채권형 펀드란?채권형 펀드는 기업이 발행하는 회사채, 정부나 공공 기관이 발행하는 국공채 등..
내 나이 31. 늙어서 얼마가 있어야 편안한 생활이 가능할까 노후 자금을 계산해보기로 했다. 국민연금관리공단에서 3년마다 발표하는 노후보장 패널 조사를 계산에 참고하고자 한다. 자료를 보면 부부의 적정 노후 생활비는 전체 평균이 약 277만 원, 서울은 약 330만 원 정도이다. 3년 전에 비해 20만 원에서 30만 원 정도 늘었으니 3년만에 10% 가깝게 늘었다. 내 노후 자금을 계산하려면 이런 물가 상승률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