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의 역량/PM의 역량 - 생각노트

아티클: 주니어(중니어) 시절의 나에게 하는 잔소리

  • 고경력자가 가질 수 있는 역할은 스페셜리스트, 매니저, 디렉터로 분류할 수 있다.
    • 보통 다른 회사에서는 리더에게 이 3가지의 역량을 모두 요구하지만, 대체로 매니저+디렉터의 역할을 하는 것을 원한다.
    • 스페셜리스트는 정말 [장인] 수준으로 기술력이 천상계급으로 도달한 사람으로, 대체로 중니어 기간에 이런 친구들이 보이기 시작한다. 정말 기술이 좋거나 이런 쪽으로 관심 있는 사람이 스페셜리스트의 길을 걷는다. 다만 단순히 [리더를 하기 싫어서]라는 마인드로는 스페셜리스트가 될 수 없다.

아티클: 좋은 PM면접이란 무엇일까?

  • 논리 역량을 체크하는 가장 효율적인 질문은 ‘데이터나 돈의 흐름을 도식화'할 줄 알아야 함
    • 예를 들어 ‘A제품이 데이터를 수집, 저장, 활용하는 과정을 그림으로 그려주세요.’ 또는 ‘A제품이 사용자에게서 돈을 받은 뒤 공급자에게 전달하는 그림으로 그려주세요.’라고 요청해 볼 수 있습니다
  • 프로젝트 별 지표 설정에 대한 논리를 명료하게 설명할 줄 알아야 함
    • M은 프로젝트 진행 시 핵심지표와 보조지표를 설계합니다. PM이 중요한 숫자를 선택하는 방식을 보면 생각의 흐름이 보입니다. 예를 들어 신규 상품 매출을 올리기 위해 하위 지표로 무엇을 관찰했는지만 (ex. 1) 고객 유입, 2) 결제 전환, 3) 리텐션율 등) 물어보아도 논리력을 가늠할 수 있습니다.
  • 실행 역량의 핵심은 사용자와 현장
    • ‘A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사용자를 어떻게 만나셨나요?’로 출발합니다. 이후, 현장의 특징은 무엇인지, 인상 깊은 사용자는 없었는지, 얼마나 자주 만났는지, 재미있는 에피소드는 없었는지 등을 편안한 환경에서 이야기 나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