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책에서 궁극적으로 말하고자하는 바
이 책에서 주로 말하고자 하는 내용은 *“궁극적으로 훌륭한 스타트업을 빨리 구축하기 위해 데이터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보여주고자 한다”*는 것이다.
→ 직감이 실험이라면 데이터는 증거다.
2. 다양한 지표
좋은 지표란
- 좋은 지표는 상대적 comparative이다.
: 시대별, 사용자, 그룹별, 경쟁자 별로 비교할 수 있으면 상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 좋은 지표는 이해하기 쉽다.
: 사람들이 지표를 기억하고 그 지표에 대해 대화를 나눠야 현실로 옮길 수 있다.
- 좋은 지표는 비율로 표현된다.
- 비율은 행동에 반영하기 쉽다: 자동차를 운전할 때 시간당 이동 거리 (속도)를 알면 그에 따라 행동할 수 있다.
- 비율은 비교의 속성이 있다 ratios are inherently comparative: 속도가 하나의 지표가 되지만 현재 속도와 직전 한 시간 동안의 평균 속도를 비교해보면 지금 속도를 높이고 있는지 줄이고 있는지 알 수 있다.
- 비율은 다소 대조적인 요소들이나 내재된 갈등이 있는 요소들을 비교하기 좋다 Ratios are also good for comparing factors that are somehow opposed, or for which there’s an inherent tension: 자동차의 사례에서 주행거리를 교통 위반 스티커의 수로 나눈 것이 여기에 해당될 수 있다. 빨리 달릴수록 주행거리는 길어지지만 교통 위반 스티커를 더 많이 받게 된다. e.g. score = distance / tickets → 서로 tension 관계에 있는 것
- 좋은 지표는 행동 방식을 바꾼다.
- 데이터를 수집하기 전에 어떤 데이터 변화에 따라 어떤 행동을 어떻게 바꿀지 미리 협의해야 한다.
지표별 특성 이해하기
올바른 지표를 선택하려면 여러 지표들이 지닌 각각의 특성을 이해해야 한다.
- 정성적 지표와 정량적 지표는 각각 장단점이 있다. : 정성적 지표를 종합하기 어려운 반면, 정량적 지표는 정황적인 정보가 부족하다.
- 허상 지표보다는 실질 지표를 추구해야 한다. : 실행으로 옮길 수 없는 것은 허상 지표다. 실질 지표를 따라야 행동 방침을 선택할 때 도움을 줌으로써 행동을 바꾸게 한다. → MAU(monthly active users)와 함께 Monthly Revenue도 함께 보고 있는 듯하다 (Revenue만 보면 돈을 많이 쓰는 한 명이 지표를 높일 수 있음 /ARPU(average revenue per user; 사용자당 평균 매출)도 함께 봐야 좋은 지표 /ARPPU(average revenue per paying user; 돈 내는 사용자당 평균 매출)
- 탐색 지표와 보고 지표로도 나눌 수 있다. : 탐색 지표는 아직 알려지지 않은 내용을 찾는 데 목적이 있으며, 보고 지표는 경영 상황을 빠짐없이 알 수 있도록 만드는 데 목적이 있다.2. 모른다는 것을 아는 것: 보고를 통해 답할 수 있는 질문. 기준을 정하고 자동화해야 한다 (ex. 사용자 수).4. 모른다는 것을 모르는 것: 탐색. 경쟁우위와 흥미로운 깨달음이 비롯되는 영역
- →스타트업 초기 단계에서는 '모른다는 것을 모르는 것'의 영역이 가장 중요. 비밀 병기가 될 수 있음
- 3. 안다는 것을 모르는 것: 직관. 정량화하고 유효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방법을 알아야 한다.
- 1. 안다는 것을 아는 것: 사실. 틀릴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와 대조하면서 확인해야 한다.
- 선행 지표는 미래를 예측할 수 있게 도와주고 후행 지표는 과거를 설명해준다. : 선행 지표는 조치를 취할 수 있기 때문에 후행 지표보다 더 유용하다. (하지만, 스타트업 초기에는 현재 지표 값이 미래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 수 있을 정도로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이때는 후행 지표를 먼저 측정.)
- 두 지표 값이 같이 움직이면 상관관계가 있으나, 한 지표가 다른 지표를 움직이게 하면 인과관계가 있다. : 지표 사이의 인과관계를 찾아내면 미래를 바꿀 수 있다.
목표 수정
처음에 결정한 목표치는 확고 불변한 목표가 아니라 가변적인 목표다. 움직이는 목표를 쫓는 것이다.
고객 세분화, 코호트, A/B 테스트, 다변량 분석
테스트는 린 분석의 핵심이므로, 아래의 방법들에 따라 두 가지를 서로 비교해볼 수 있다. 이를 통해 타당성을 입증할 수 있다.
- 고객 세분화 : 공통의 특징 (기술적 정보 혹은 인구통계학적 정보 같은 것을 사용)을 공유하는 집단을 나누어 비교해 볼 수 있다. ex. 오스트레일리아 사용자들이 다른 지역의 사용자들보다 웹사이트 활동이 더 활발하다면 그 이유를 조사해서 알아낸 다음 다른 고객군에도 그 성공을 복제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 코호트 분석 : 시간을 두고 비슷한 그룹을 비교하는 것 → 특정한 주기에 사업 모델을 수정할 수도 있으므로, 그 사이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알기 위하여 코호트 분석을 이용할 수 있다. → 종단적 연구 (자연스러운 수명 주기에 따라 데이터를 수집하는 조사)
- A/B 테스트와 다변량 테스트 → 횡단적 연구 (동시에 서로 다른 경험을 하게 하는 조사) : 방문자의 절반에게는 파란색 링크를 보여주고 다른 절반에게는 녹색 링크를 보여주면서 어떤 그룹이 링크를 더 잘 클릭하는지 알아보는 것
- A/B 테스트 단점: 트래픽이 적은 곳에서는 여러개를 테스트하려면 시간이 오래 걸림.
그래서 다변량 테스트 같은 것을 활용하여 한 번에 여러 요소를 확인해야 한다.(교호작용 interaction effect 을 고려해서 결과를 볼 수 있음 → 다변량 테스트 장점)
KPI란
KPI란 Key Performance Indicators의 약자로 사업을 이끄는 특정 지표를 의미한다.
어떤 지표에 대하여 "이 정보로 내가 무엇을 할 수 있을까?"의 질문을 떠올리고 이 질문에 대답할 수 없다면 그 지표는 그다지 신경 쓸 필요가 없을지도 모른다.
분석이 필요한 이유
- 오픈율, 전환율 같은 사실과 가정을 확인하고 사업 계획이 정확한지 확인
- 직관을 테스트하고 가설을 증거로 바꿈
- 스프레드시트, 각종 그래프, 경영진 회의 등에 필요한 데이터를 구함
- 사업 기회를 찾음
린 분석 주기
린 분석은 아래 이미지와 같이 중요한 지표를 찾은 다음 다른 문제나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을 정도로 지표가 개선될 때까지 여러 가지 실험을 하는 것이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3. 어떤 일을 할 것인가?
무언가를 만들려면 두 가지가 충족되어야 한다.
1. 실제로 시장이 존재하는지 → 애시 모리아의 린 캔버스를 이용하여 고객 개발을 바탕으로 사업 모델을 정의하고 수정할 수 있다.
2. 내가 하고 싶은 일인지 → 하지만 궁극적으로 지표를 통해 성공할 사업을 찾아야 할 뿐만 아니라 자신이 하고 싶은 사업을 찾아야 한다. 버드 캐델이 제안한 무슨 일을 하며 자신의 인생을 살아갈지 결정하는 세 가지 분명한 기준은 아래와 같다.
데이터 주도적 접근법과 데이터를 참고하는 접근법
- 데이터 주도적인 최적화를 통해 반복적인 개선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 초기 단계에 만드는 것은 제품이 아닌 어떤 제품을 만들지 알아내기 위해 도구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 → 즉 지속 가능한 사업 모델을 찾는 과정이며 “구축 → 측정 → 학습” 주기를 거치며 상황을 진정으로 이해하고 새로운 가능성에 대해 열린 자세를 가져야 한다.
'쉽지 않은 인생기록 > 책책책을 읽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도 섀퍼의 돈 - 독후감 (1) | 2024.05.19 |
---|---|
회계 천재가 된 홍대리 - 독후감 (1) | 2024.04.26 |
독후감 - 일 잘하는 사람이 반드시 쓰는 글 습관 (1) | 2024.03.16 |
인스타 브레인(1장-4장) - 독후감 (2) | 2023.12.17 |
프로덕트 매니저는 무슨 일을 하고 있을까 - 독후감 (1) | 2023.04.23 |